영어 뼈대 만들기

문법 자체가 목적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수단으로서 활용해야 한다.

반응형

소유격 2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대명사

영어문장에는 영어단어들이 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정해져 있다. 그 자리를 '문장 성분'이라고 한다. 문장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문장의 구성요소, 문장의 성분인 동시에 단어가 들어가는 자리를 말해준다. 문장이 무엇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지 주제, 화제, topic을 알려주는 주어(자리) 주어가 정해졌으면 주어의 행위나 움직임, 상태 등을 풀어서 나타내 주는 서술어 혹은 술어(자리) 술어에 오는 동사가 be동사일 때 be동사 뒤에 오는 정보의 자리를 보어(자리) --be동사는 혼자 쓰이지 않고 뒤에 꼭 보충하는 정보(보어)와 함께 쓰이기 때문에 보어가 온다. 술어에 오는 동사가 일반동사일 때 그 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을 나타내 줄 필요가 있다. 그 대상이 목적어(자리) 위에서 설명한 것들은 문장을 이루..

명사 전치수식어 2

영어 문장에서 명사는 주어 자리에, 보어 자리에(be동사 뒤), 목적어 자리에(일반동사 뒤),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전치사 뒤에) 올 수 있다. 비교적 다른 품사들 보다 차지하는 자리가 많다. 명사는 혼자 사용될 수도 있지만 명사를 설명해주는 명사 수식어들을 데리고 다닌다. 그래서 수식어들이 많이 붙으면서 그 수식어와 명사는 서로 관련된 정보로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할 수 있다. 그 명사 덩어리를 명사구라고 부르고 아주 길어질 수 있다. 한국어는 명사 수식어를 명사 앞에만 붙이지만 영어는 뒤에 붙이는 후치 수식이 기본이고 그 수식어가 짧을 때에는 명사 앞에 올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와는 달리 영어는 명사의 앞과 뒤에 모두 달라 붙는다. 우리는 우선 명사의 앞에 오는 전치 수식어들을 알아보고 있다. 명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