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뼈대 만들기

문법 자체가 목적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수단으로서 활용해야 한다.

반응형

Do grammar yourself ! 35

재귀대명사 oneself

안녕하세요~^^ 이번엔 '셀프(self)'에 대해 한 번 알아보죠. 우선 재귀대명사의 형태는 나 자신 myself 너 자신 yourself 너희들 자신 yourselves 그 자신 himself 그녀 자신 herself 우리 자신 ourselves 그들 자신 themselves 그것 자신 itself 그럼 재귀대명사를 어떻게 언제 사용하는지 알아봐야죠. 내 남친이 요즘 Tom Cruise에 빠져 있어. My boy friend is into Tom Cruise these days. 그가 진짜 그를 좋아해. He really loves him. 이 문장에서 he가 두 번 나오는데요,, 어떤가요? 서로 다른 사람이죠 그런데 어떻게 누가 누구인지 혼동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대화나 상황에서 상대가 충분히 알 ..

used 관련 혼동 표현 쉬운 정리

used to 동사원형 be used to 명사/동사 ing be used to 동사원형 보기만 해도 머리가 아프신가요? 안녕하세요!! 타이거 샐리입니다. 오늘은 used와 관련된 혼동스러운 표현을 정말 쉽게 깔끔 정리해드릴게요. 혼동스럽다고 하는 건 시험 문제에 단골손님이겠죠. 따라서 시험 문제에 잘 나오기는 합니다만,, 꼭 시험뿐만 아니라 영어를 공부하고 계시다면 아셔야 될 내용이죠. 단순히 used와 관련된 표현만을 익히는데 그쳐서는 안 되고요, 항상 문장 하나를 공부하시더라도, 다른 새로운 많은 문장들에 공통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원리와 규칙을 파악하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럼 표현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이런 표현에서 나오는 영어문장의 규칙을 파악해 봅시다. 첫째, used to동사원형 여..

간접 의문문의 whether 대신 쓰이는 if

우리가 영어 단어 중 if를 떠올리면 우선 뭐 라면이 생각이 나죠. 여러분은 무슨 라면을 좋아하시나요? 신라면이 보편적이긴 한데, 요즘은 종류가 하도 다양해서 취향별로 선호하는 게 다르더라고요. 뭐 참깨라면이 맛있다 그러고,,,, 초장부터 삼천포로 빠졌나요? 네~~ if의 의미를 떠올리면 '~라면'이라고 해석을 하시겠죠. '~라면'이라는 것은 어떤 조건을 의미합니다. 누군가가 집에 있다면 그건 분명 우리 아빠일거야. If someone is at home, it must be my dad. => 가능성 있는 조건 철을 가열하면 그건 팽창하지. If you heat iron, it expands. => 가능성 있는 조건 내가 그녀의 이름을 안다면, 너에게 말해줄텐데. If I knew her name, I..

조건의 부사절 접속사 if와 가정법에 쓰이는 if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 이야기는 if에 관한 것입니다. 영어 단어들 중에는 한 단어가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있어요. 멀티 플레이어라고나 할까요? 예를 들어 who라는 단어도 의문사의 기능을 하면 의문문에 쓰여서 '누가', '누구를'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죠? Who is that guy? 저 남자 누구야? Who do you like the most? 넌 누굴 가장 좋아하니? 관계대명사의 기능을 하면 명사 뒤에서 (명사가 포함된) 명사를 설명하는 문장을 앞에서 이끄는 역할을 하죠. I know that girl who is wearing sunglasses. 나는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 저 소녀를 알아. (이때는 who를 특별히 해석하지는 않아요. 기능만 하고 있는 것이지..

영어의 생각 동사 think의 속사정

안녕하세요 용!! 타이거 샐리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영어의 동사들 중에 너무나도 많이 그리고 자주 사용되는 영어의 동사 think는 말 못 할(?) 속사정이 있는데요. 그 속사정이 뭔지 사연을 좀 들어봅시다. 사실,, 동사 think는 힘(power)이 없는 동사입니다. 웬 힘 얘기냐고요? 동사의 의미, 뜻에 있어서 강하지가 못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럼 힘이 없다는 이유로 문장 내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2가지로 현상을 정리할게요. 첫 번째 현상은 이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또 다른 작은 문장(절)이 있는 경우 I think [my sons are smart]. 그 절이 부정문이 될 때 그 부정(not)을 생각 동사(think)로 옮겨버릴 수 있다는 것이죠. 왜? 생각동사 think는..

영어의 의문문(interrogative sentence)과 간접 의문문

이 보다 더 명쾌할 순 없다.~~ 없겠지? 없지 않을까? 없다니까~~ 한 번 믿어 봐!!! 일단 영어의 의문문은 평서문에서 출발하면 정리가 잘 됩니다. ※ 평서문 = 주어+술어의 순서로 만들어지는데, 의문문은 대답을 유도하고 주의를 끌기 위해 기본적으로 철옹성 같은 이 순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의문문 = 술어+주어 영어의 평서문을 두 가지로 분류할게요. ①문장의 술어 자리에 동사가 be동사인 경우 ②문장의 술어자리에 동사가 일반동사인 경우 ①번의 경우는 쉽습니다. 주어와 be동사의 순서를 바꿔주면 끝!! He is hungry. => Is he hungy? They are teachers. => Are they teachers? ②번의 경우는 do가 나타나서 일반동사 대신 일을 도와줍니다. ..

난 무서워~ I scared? I am scared? I scary?

안녕하세요? 여러분!!! 매년 10월 말이 되면 핼러윈데이라고 해서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거의 빠짐없이 행사나 파티를 하면서 즐기고 있죠. 상술에 이용된다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뭐 내가 즐거우면 되죠. 핼러윈 날에는 귀신들이 출몰하는 날이기 때문에 우리가 더 무섭게 분장을 해서 귀신들을 내쫓아야겠죠? 그리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Trick or treat!!! 를 외치며 사탕이나 간식거리를 얻어먹어야겠죠? treat은 사탕이나 초콜릿 등과 같은 주전부리, 간식을 말합니다. trick은 장난이니까 한마디로 간식 줄래? 아님 장난칠까? 이런 뜻이죠. ㅋㅋㅋ 귀엽네요. 할로윈 날에도 특히 많이 사용하겠지만, 우리가 '무섭다~'와 관련된 영어 표현을 만들 때 많이들 혼동하시는 거 같아 정리를 해드릴게요. 우선,..

전치사(preposition)

영어단어들을 특징별로 분류한 것이 품사라고 하였다.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와 더불어 전치사라는 것이 있다. 전치사는 약방의 감초처럼 문장 곳곳에 자주 쓰이는데, 따라서 그 중요성이 큰데 그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듯하다. 왜냐하면 문장 내 전치사의 쓰임을 잘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전치사가 출몰하는 장소를 다 꿰고 있어야 전치사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는 것이다. 우선 전치사는 말 그대로 전치, 앞에 놓인다는 뜻인데,, 뭐 앞에 놓이는지는 이름으로 추측하기 어렵다. 그럼 전치사 뒤에는 뭐가 올까? 명사가 온다. 전치사 + 명사 이 명사를 문법 용어로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하기도 한다. 명사 자리에 대명사가 오는 경우 목적격 형태로 오는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예를 들어 전치사 about(~..

분사 형용사(-ing, p.p.)

분사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정확한 개념을 잘 못 잡고 있는 것 같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정리하시길 바란다. 분사란 동사에 달라붙는 장치인 진행(be+-ing)의 부분인 -ing 형태와 수동태(be+p.p.)의 부분인 p.p. 형태를 말한다. 진행(~하는 중이다) 장치와 수동태(주어가 ~당하다) 장치의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분사라고 한다. 그럼 분사는 동사에 -ing를 붙이거나 동사의 과거분사 형태(p.p.)로 사용하는 것이다. 모든 동사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감정이나 기분을 나타내는 동사를 가지고 활용할 수 있다. 동사는 움직임, 동작 등을 나타내는 단어이지만 감정과 기분을 표현하는 동사가 존재한다. 놀라다 amaze 짜증나다 annoy 혼란스럽다 confuse 실망하..

형용사

안녕하세요.. 영어의 단어들을 특징별로 분류한 것을 뭐라고? 품사라고 하죠. 품사 중에 형용사라는 아이가 있어요. 형용사는 어떤 특징을 가진 단어들을 분류해 놓은 것이냐면,, 어떤 상태나 성질 등을 표현, 형용하는 거예요. 형용사는 다른 품사들 중에서 누구랑 친하냐면요,, 명사랑 친합니다. 상태나 성질 등을 설명한다는 것은 결국 명사의 상태나 특징, 성질을 설명한다는 말이지요. 그럼 명사의 특성을 어떤 식으로 설명해줄까요? 명사 가까이에 있어야 하겠죠? 따리서 형용사의 위치는 첫째 명사의 앞과 뒤 둘째 be동사 뒤입니다. (혹은 be동사 역할 대신하는 일반동사-연결 동사 뒤에도 옵니다.) 대부분의 형용사는 첫째 경우와 둘째 경우를 함께 다 사용 가능하지만 일부 형용사는 첫째 경우에만 사용이 되거나 둘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