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 이야기는 if에 관한 것입니다.
영어 단어들 중에는 한 단어가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있어요.
멀티 플레이어라고나 할까요?
예를 들어 who라는 단어도 의문사의 기능을 하면
의문문에 쓰여서 '누가', '누구를'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죠?
Who is that guy? 저 남자 누구야?
Who do you like the most? 넌 누굴 가장 좋아하니?
관계대명사의 기능을 하면 명사 뒤에서 (명사가 포함된) 명사를 설명하는 문장을 앞에서 이끄는 역할을 하죠.
I know that girl who is wearing sunglasses. 나는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 저 소녀를 알아.
(이때는 who를 특별히 해석하지는 않아요. 기능만 하고 있는 것이지요.)
또 대표적인 거 뭐죠?
지금 제가 여러분께 물어보고 있나요? ㅋㅋ
그것은 바로;;;
to
to는 전치사 의 기능을 하며 어디 어디로 향하는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I go to coffee shop every two days. 난 이틀에 한 번 커피숖을 가.
또 그 유명한 to 부정사(to+동사원형)의 일부로서 기능을 하고 있죠.
She wants to speak English very well. 그녀는 영어를 아주 잘 말하고 싶어 해.
I will study hard to pass the test. 난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할 거야.
My daughter needs friends to play with. 내 딸을 함께 놀 친구들이 필요해.
이렇듯,, ,, 뭐 이렇습니다.

한 단어가 항상 하나의 뜻만 있거나 문장 내에서 하나의 기능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겁먹지는 마세요.
뭐든지 우리가 잘 모를 때 더 두렵고 어렵게 느껴지는 법입니다.
조금씩 조금씩 타이거 샐리와 함께 알아가신다면 영어가 별 게 아니구나 하고 무릎을 탁 치실 날이 올 거예요
특히 제 클래스유 강의(타이거 샐리의 마지막 영어)를 들으시면 빠른 시간 내에 모든 영어구조를 다 꿰차실 수 있습니다. 논리적인 방식으로요.
댓글로 문의를 주시면 할인 링크를 드리도록,, 하지요.

암튼, 오늘의 주인공은 if 지요.
따라서 위의 예처럼 if도 의미가 다르게 사용될 수 있고 다른 기능으로 문장 속에서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겠죠.
첫째, if는 기능으로 말하자면 부사절 접속사입니다.
그리고 뜻은 '~ 라면', '~의 조건 하에서'로 해석이 됩니다.
문장에는 주어와 술어가 있을 것입니다. 거기에 조건을 추가로 다는 거죠.
We can have dinner together. 우리 저녁 함께 먹을 수 있어.
자, 이렇게 문장이 끝나도 되지만 조건을 달아보죠.
어떤 조건에서 우리가 저녁을 함께 먹을 수 있을까요?
[네가 집에 일찍 들어온다는 조건에서]
혹은 [네가 집에 일찍 들어온다면] ==> 부사절
우리 저녁 함께 먹을 수 있어. ==> 주절
if가 조건의 부사절을 이끄는 것입니다.
이끈다는 말은 부사절의 맨 앞에 위치한다는 뜻이고
[if + 주어 + 술어]의 구조라는 뜻입니다.
부사절을 문장 맨 앞에 와도 되고 주절 뒤에 와도 됩니다.
[If you come home early], we can have dinner together.
We can have dinner together [if you come home early].

다른 예문을 한 번 볼까요?
We're going to go on a picnic tomorrow.
우리 소풍 갈 거야. 왕~~ 신난다.
그럼 어떤 조건에서 갈지 if가 이끄는 조건의 부사절을 덧붙여서 더 상세한 문장을 만들어 볼까요?
내일 비가 오지 않는 조건에서, 내일 비가 오지 않으면
if it's not rainy tomorrow
내일 비가 오지 않는다면, 우린 소풍 갈거야.
[If it's not rainy tomorrow], we're going to go on a picnic.
We're going to go on a picnic [if it's not rainy tomorrow].
자!! if의 역할, 조건이라는 건 어떻나요?
실현 가능성이 있나요? 있죠?
그런 조건이라면 어떻게 어떻게 한다, 할 것이다.라는 식으로 말하는 거니까 실현 가능성이 있는 거죠.
비가 안 오면 내일 소풍을 가는 것이고 내일 비가 오면 소풍을 안 가겠죠.
비가 올 수도 있고 비가 안 올 수도 있겠죠.
가능성 있는 조건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가능하지 않는 상황에 대한 조건을 걸 때도 if를 사용한다는 건데요.
현실에서 불가능한 상황을, 발생할 일이 없겠지만 만일 그렇다면 어떨 것이다라고 예측하면서 말하는 방식이죠.
이런 방식을 가정법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실제로 가능한 조건을 걸어서 말하는 방식과 실현 불가능한 조건을 걸어서 말하는 방식이 같아서는 안 되겠죠?
실현 가능성이 있는 조건은 편하게 상황에 맞게 알맞은 시제를 사용하면 됩니다만,
실현 불가능한 상황의 조건은 불가능한, 현실과 반대라는 것을 나타내 주어야 실현 가능한 조건과 구별이 됩니다.

우리가 지난 일을 나타낼 때 동사에 사용하는 과거 장치 -ed는 시제가 과거일 때만 사용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ed는 거리감을 나타내는 영어의 장치인데,
현재와 시간적으로 거리감이 있을 때는 과거장 치로 -ed가 사용되는 것이고
현실과 반대되는 현실과의 거리감이 있을 때에도 -ed 장치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하는 조건의 if가 있는 경우에는 동사에 -ed 장치를 붙여야 합니다.
내가 백만장자라면 (현실은 내가 백만장자 아닙니다)
If I am a milionaire X
If I were a milionaire O
불가능한 일, 현실과 반대되는 일을 가정할 때는 동사에 -ed 장치를 첨가해줘야 한다고 했죠?
여기서 사용된 -ed는 과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거로 (내가 백만장자였다면) 해석하면 안 됩니다.
'백만장자가 아닌데 백만장자라고 가정해본다면'이라는 뜻입니다.
자, 여기서 끝내면 안됩니다.
if가 이끄는 부사절이 가정법을 포함하고 있다면 주절 부분도 당연히 사실이 아닌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말투(가정법)를 나타내야겠죠. 그래야 쿵작이 맞겠죠.
내가 (백만장자가 아니지만) 백만장자라면, 너에게 큰 집을 사 줄 것이다. X
If I were a milionaire, I will buy you a big house. X
내가 (백만장자가 아니지만) 백만장자라면, 너에게 큰 집을 사 줄 수 있을 텐데. O
맞나요?
현실이 아닌 가정의 이야기를 조건으로 걸 때는 '사 줄 것이다.'가 아니라
'사 줄텐데.' 혹은 ' 사 줄 수 있을 텐데.' (심지어 못 사줘서 안타깝다는 의미도 내포)의 형식으로 표현해야 올바른 문장이 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여기서 '사 줄텐데.' 혹은 ' 사 줄 수 있을 텐데.'를 어떻게 영어로 나타낼 것인가?
I will buy you a new house에서 will은 주어의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는 조동사예요.
가정법과는 어울리는 아이가 아니죠.
가정법과 어울리려면 가능성이나 확실성이 떨어지는 조동사를 사용해주면 됩니다.
그 적절한 아이들은 would, should, could, might입니다.
한국어식으로 해석하면 '~~(할)텐데.'로 하면 가장 적절합니다.
(이 4가지 조동사는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If I were a milionaire, I could buy you a big house. O
(가정법에서 be동사가 현실과의 거리감을 나타낼 때는 was 보다 were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was도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다른 예문을 볼게요
※ 주의:
If절 안 동사에 -ed가 들어있는 것을 과거의 시제로 해석하시면 안 되고 가정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구나 하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난 시간이 없어서 부엌 청소를 못하는 상황입니다.)
If I had time, I would clean the kitchen. 내가 시간이 있다면 부엌 청소를 할 텐데.
(난 절대 네가 될 수 없죠)
If I were you, I shouldn't worry. 만약에 내가 너라면 걱정하지 않을 텐데.
(그는 일을 꼭 해야 해요.)
If he didn't have to work, he would come to your party. 그가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면, 그가 너의 파티에 올 텐데.
자!!
if가 함께 오는 형식에 따라서 실제 가능한 조건에 관해 나타낼 수도 있고 현실과 반대되는 내용에 관한 조건을 나타낼 수도 있다는 것을 아셨나요?
두 경우 모두 if의 정체를 부사절 접속사로 봐주시면 됩니다.

이번엔 if 가 다른 역할로 무슨 알바를 하는지 또 알려드릴게요.
글 하나에 모든 내용을 다 담으면 지겨우시니까 따로 적을게요.
궁금하면 500원 아니고 그냥 클릭만 하시면 돼요.
밑에 있잖아~~ 요기요 ↓↓
간접 의문문의 whether 대신 쓰이는 if
우리가 영어 단어 중 if를 떠올리면 우선 뭐 라면이 생각이 나죠. 여러분은 무슨 라면을 좋아하시나요? 신라면이 보편적이긴 한데, 요즘은 종류가 하도 다양해서 취향별로 선호하는 게 다르더라
lifeofsally.tistory.com
유튜브 채널
TigerSally
영어 문법은 단지 시험을 위한 것이 아니다. 물론 영문법을 제대로 배운다면 시험도 잘 볼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를 배우는 근본적인 이유는 다양한 목적으로 외국인들과 소통
www.youtube.com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tiger._.sally/
영어 문장 전체 모든 뼈대(구조)를 쉽게 체계적으로 정리하시고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원하시는 분들은
꼭 제 강의를 들어보세요.
영어에 대한 방황을 종결 하시게 될 것입니다.
이 기회를 지나치시면 여러분 인생에서 다시는 못 만날 강의입니다.
클래스유
(타이거 샐리의 마지막 영어)
타이거샐리의 마지막 영어
클래스 배우기 강의, 강좌 후기 - 타이거샐리의 마지막 영어 | 제이슨 어학원 대표 영문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면서 전체 체계를 잡아드리는 15년 경력의 영어 강사입니다.한국인을 위한 가장 쉽
www.classu.co.kr
'Do grammar yourself !'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d 관련 혼동 표현 쉬운 정리 (1) | 2022.12.20 |
---|---|
간접 의문문의 whether 대신 쓰이는 if (4) | 2022.12.09 |
영어의 생각 동사 think의 속사정 (2) | 2022.11.11 |
영어의 의문문(interrogative sentence)과 간접 의문문 (0) | 2022.11.09 |
난 무서워~ I scared? I am scared? I scary? (2)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