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뼈대 만들기

문법 자체가 목적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수단으로서 활용해야 한다.

영어 학습에 앞서

한국에서 영어 잘하는 법

타이거 샐리 2022. 12. 18. 22:08
반응형

 

지금 여러분 상황이 고등학생이든 일반인이든 아니면 대학생이든 사실 영어문법이라고 하는 것은

문법 없이 언어에 노출이 되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아이들의 연령대가 아니라면 누구나 다 필요합니다.

영어를 평소에 많이 쓸 일이 없는데 영어를 배워야 할 상황에서는 더 그렇습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영어를 잘하고 싶으면서도 영어 문법은 외면하려고 하는 성향이 있죠.

이유는 뭐죠?
영어문법이 어렵게 느껴지기 때문이죠.

대부분 우리는 학교에서 영어문법을 배우는데, 무슨 암기과목처럼 외워야 되는 복잡한 공식으로 접하고 있죠.
또한 언어를 배워서 실생활에서 적용해 보는 방향이 아니라 시험성적의 결과물을 위해 배우기 때문에 시험이 끝나면 머릿속에서 삭제가 되죠. 

암기하는 방식으로 하다보니 잊어버리면 공부한 것이 헛것이 되고, 
체계 없이 부분 부분으로 쪼개서 배우다 보니 영어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 전체 틀과 흐름과 맥락을 알 수가 없죠.

어렵게 느껴지고 공부해도 성과가 미미하니 재미가 없고 하기 싫게 되는 것이죠.

그럼 영어문법은 왜 필요할까요? 

첫째,
암기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우리가 살면서 펼쳐지는 상황은 너무나도 다양한데 내가 외운 문장의 상황만 골라서 일어나겠냐는 말이죠. 
그리고 또한 외운 문장들이 기억에 오래 남아있지도 않는다는 게 문제죠.

둘째,
영어문법은 특히 외국인에게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 원리와 규칙을 설명해주는 안내서 같은 존재입니다. 
문법 규칙에 따라 문장을 만들어야지, 내 마음대로 혹은 한국어의 틀로 영어 문장을 만들면 의사소통이 힘들어지겠죠.
따라서 제대로 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법 규칙에 맞게 문장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셋째,
성인으로서 외국어를 배울 때는 어린아이들보다 더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더더욱 논리적으로 문장 구조의 이해를 통해 학습하는 것이 무조건 암기하는 방식보다는 훨씬 효율적입니다. 
자연스럽게 언어에 노출이 되어 자연스럽게 언어를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배울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영어 문장 구조의 체계를 알지 못한 채 부분 부분 흩어지고 조각나 있는 문법 사항만을 암기 방식으로 공부하는 대부분 한국의 영어 공부 방식은
영어를 내가 원하는 만큼 잘 배워서 활용하고 싶은 소박한 꿈을 이루기 힘든 소망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것이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현실입니다. 
항상 뭐 새롭고 획기적인 영어 학습법이 없나 찾아 헤매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대부분의 영어교재나 강의를 보면 모든 문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응용 원리를 설명하기보다는 그저 영어 표현을 알려주는 식의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당장은 뭔가 배웠다는 느낌이 들지 몰라도 그 문장을 잊어버리게 되면 배운 것이 소용이 없어지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영어로 하려면 결국 혼자서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 내는 힘을 키워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영어 문장의 단순한 암기가 아닌 한국어와 다른 영어 문장의 구조를 잘 이해하는 것이 가장 우선일 것입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제 열정과 시간을 투자했습니다.
저의 노하우를 담은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모든 영어문장 구조를 짧은 시간에 내 것으로 다 정리하고 싶으신 분들은

무료로 공개되어 있는 샘플 강의를 꼭 한번 보시고 댓글을 달아주시면 

특별히 강의 할인 링크를 보내드리겠습니다.

 

타이거샐리의 마지막 영어

클래스 배우기 강의, 강좌 후기 - 타이거샐리의 마지막 영어 | 제이슨 어학원 대표 영문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면서 전체 체계를 잡아드리는 15년 경력의 영어 강사입니다.한국인을 위한 가장 쉽

www.classu.co.kr

결코 후회 안 하실 강의입니다.

반응형

'영어 학습에 앞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형식에 가로 막힌 한국 영문법  (0) 2021.09.07
우리나라에서 영어의 현실  (0) 202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