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3에서 우리가 흔하게 쓰는 표현인 '~가 있다'를 어떻게 만드는지 잘 익히고 오셨나요?
무작정 외우기보다는 왜 뜬금없이 there을 앞 장세 워야 하는지 이유를 알고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지 않나요?
영어 문장 안에서 단어들이 짧게 혹은 길게 나열되어 있잖아요. 그 하나하나 단어들이 다 의미(뜻)를 가지고 해석하는 데 사용될 거 같지만 그렇지 않은 단어들이 함께 있어요.
지금 배운 There is cheese in the fridge. There are many pencils in the drawer. 같은 문장에서 there을 '거기에'라고 해석을 해서는 안되죠.
It is sunny today. 에서 it을 '그것'이라고 해석하나요? 의미 없이 해석되지 않고 어떤 역할, 기능을 하는 단어들이 있어요. 대표적인 to 부정사의 to도 해석은 하지 않지요. 어떤 역할만 하는 거예요. 기능어들이라고 볼 수 있어요.

다시 돌아가서 그럼 There is/are을 부정문이나 의문문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하나요?
앞에서 배운 일반적인 의문문, 부정문 만드는 원리를 적용시키면 되겠죠.
먼저 문장에 동사가 일반동사인지 be동사인지 확인해 봅시다. be동사가 눈에 보이네요.
그럼 부정문은 어떻게 만드나요?
be동사 뒤에 not을 붙이면 되죠.
There is cheese in the fridge. ==> There isn't cheese in the fridge.
'좀'의 의미를 가진 'some' 이 있을 때는 부정문이나 의문문에서는 'any'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There is some cheese in the fridge. ==> There isn't any cheese in the fridge.
의문문을 만들어볼까요?
be동사가 있을 때 의문문 어떻게 만드나요?
주어와 be동 사이 자리를 바꾸면 되죠.
There is some cheese in the fridge. ==> Is there any cheese in the fridge?
There are many pencils in the drawer. ==> Are there many pencils in the drawer?
쉽다고 무시하지 말고 반복해서 연습해봅시다. '~가 ~에 있어요' '~가 ~에 있어요?' '~가~에 없어요.'라는 표현을 쓰고 싶을 때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 보면 스스럼없이 바로 만들어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항상 기본이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이 기본 형태에서 문장이 길어질 수 있는 거니까요.
4-3. There is/are ~가 있다.
이전 글에서 be동사가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전치사+명사)와 함께 쓰여 '있다' 의미, 좀 더 거창하게 얘기해서 '존재한다.'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고 했다. 여기에 '있다'라는'있다'라는 또 다
lifeofsally.tistory.com
'Do grammar yourself ! >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 There is/are ~가 있다. (0) | 2021.09.15 |
---|---|
4-2. be동사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be동사+명사) (0) | 2021.09.14 |
4-1. be동사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be동사+형용사) (0) | 2021.09.14 |
3. be동사의 활용 (0) | 2021.09.14 |
2.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 - 동사와 비교 (0) | 202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