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긴 문장이든 짧은 문자이든 항상 주어와 서술어는 존재한다. 그 외의 정보들은 필요하면 쓰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주어와 동사가 있어야 문장이라고 부를 수 있다.
Richard Dawkins and John Krebs argued [that although in some circumstances it might be appropriate to describe
주어 동사 나머지 다 목적어
animal signals as transferring information, in many other, perhaps most, cases there would be such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signaller and receiver that it is more accurate to describe the signaller as attempting to 'manipulate'the receiver rather than just inform it.]
마침표 하나 있다. 고3 수능시험에 나온 60단어짜리 한 문장이다. 짧은 문장은 문법을 몰라도 대충 의미를 추측해내서 이해한다고 쳐도 저렇게 긴 문장은 영어 문장의 구성원리인 영문법을 모르고는 멘붕에 빠질 것이다.
이렇게 긴 문장에서도 주어와 동사를 먼저 챙기면 반은 이해하고 가는 것이다. 그리고 동사argue는 목적어를 취하기 때문에 argued를 보고 나면 뒤에 목적어가 나오겠구나 예측할 수 있다.

어디선가 항의의 목소리가 들린다. 목적어가 왜 저렇게 길고 복잡하냐고.
일단 할말이 많아서 긴 거고 그럼 우리는 목적어 자리에 어떤 구조가 들어갈 수 있는지 공부하면 되는 것이다.
저런 난이도 높은 문장에 우울증 걸리지 말고 차근차근 기초부터 쌓아가면 당연히 저런 구조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거짓말 아니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영어로 바꾸고 싶다면 항상 주어가 뭐지? 서술어(동사)는 뭐지?를 우선 생각해서 해당 단어를 찾아내는 것이 1순위이다.
다시 돌아가서,,,

주어 다음 서술어 자리에는 동사라고 분류된 단어들이 그 자리를 차지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동사를 서술어 자리에 쓰면 될텐데,, 또 뭐가 문제지?
정말 기본적인 것이지만 한국인을 좀 혼동스럽게 하는 것은 우리말과 영어의 차이점 때문이다.
내 여자 친구는 예쁘다. 난 항상 내 베프랑 학교식당에서 점심을 먹어.
이 두 문장의 서술어는 어디에 있는가? 한국말은 문장 맨 끝에 있다. '예쁘다.' 와 '먹다.'
한국어는 두 단어를 구분할 필요없이 걍 서술어 자리에 놓고 쓰면 되지만,
영어는 다르다. 다르게 취급한다. 두 단어의 의미를 가진 영어단어를 찾으면 pretty와 eat or have가 될 것이다.
사실 영어 스타일로 이 단어들을 해석하면 eat은 '먹다'이지만 pretty는 '예쁘다'가 아니고 ★★'예쁜'★이다.
영어에서 eat은 동사이고 pretty는 형용사이다.
(물론 한국어에서도 예쁘다는 형용사이지만 혼자서 동사처럼 서술어자리에 사용한다. 영어는 한국어처럼 형용사를 서술어 자리에 혼자 보내어 동사를 대신해서 동사처럼 쓰지 않는다.)
한마디로 영어에서는 형용사는 형용사이지 동사가 아니다. 그럼 형용사를 서술어 자리에 어떻게 사용하나?
형용사는 명사를 설명해주는 단어이기 때문에 명사와 연관되어 쓰인다. 자리는? 명사의 앞이나 덩어리가 좀 크면 명사의 뒤에 쓰인다. 명사 가까이에 있다. ※ 형용사 파트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럼 'my pretty(예쁜) girl friend'가 아니고 '내 여자친구는 예쁘다'는 어떻게 영작하나?
영어의 형용사가 '예쁜'이 아닌 '예쁘다'로 서술어의 일부가 되고 싶으면 아무 의미가 없는 be동사라는 특수 동사의 도움을 받아서 함께 쓰면 된다. 그러면 'be동사'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동사의 역할을 해주고 '형용사'는 의미적 측면에서 해석할 때 기여를 한다.
be동사는 아시다시피 주어에 따라서 형태를 바꿔서 사용한다.
( 주어가 I 일때 am
he, she, it, 단수명사 일때 is
you, they, 복수명사 일때 are
시제가 과거일때 was, were ) My girl friend is pretty. => 해석은 형용사pretty를 이용해서 '예쁘다'라고 하고
이 문장에서 동사는 뭐냐하고 물으면 be동사 is다 라고 하셤

안 봤으면 이것도 볼래?
서술어 자리는 동사 1탄
서술어는 우리말에서 ~이다. ~하다. 로 끝나는 부분이니까 품사중에 해석이 그렇게 되는 것이 동사 아니겠습니까? 그렇다면 요기요!! 질문이요~ 주어 자리에는 명사나 명사 대신 쓰는 대명사 말
lifeofsally.tistory.com
서술어 자리는 동사 - 2탄
부사(어)는 위치가 자유롭고 부가적인 정보이므로 크게 신경쓸 것은 없다. 우리가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이다. 이번 글은 서술어가 주인공이니 서술어 자리에 대해 언
lifeofsally.tistory.com
'Do grammar yourself ! > 기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동사 활용 1 (0) | 2021.09.03 |
---|---|
서술어 자리는 동사 - 2탄 (0) | 2021.09.03 |
서술어 자리는 동사 1탄 (0) | 2021.09.02 |
문장은 무슨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문장성분 (0) | 2021.09.01 |
영어 단어의 카테고리화 품사 정리 (0) | 2021.09.01 |